정부, 코로나 백신접종 시 언어와 출생지 기록

코로나 19 백신접종 및 확진판정을 받을 시 출신국 및 모국어가 모두 기록으로 남을 예정이다. 이는 코로나 19백신접종을 기피하거나 코로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커뮤니티를 식별하기 위함이다.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해외국가들의 데이터에 따르면, 인종 별로 백신접종률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영국 같은 경우에는 소수 커뮤니티 일수록 백신 접종률이 낮다고 한다.

보건부에서 코로나19 긴급대책반을 이끌고 있는 루카 박사는 백신접종 데이터들은 GP 호흡기 전담 클리닉에 최초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루카 박사는, “충분하지 않거나 과한 표본이 되는 커뮤니티를 타깃으로 한 공중보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 사회 지도자들과 고위 기관들의 강력 추진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성별, 원주민 출신 여부, 연령을 기록하는 것처럼 코로나 19 백신접종 및 양성판정여부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추진하고 있다.” 고 덧붙였다.

해당 정보는 의료 종사자들과 정부 공무원들이 공중보건 대책을 강구하는데 있어서 공백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백신접종수가 부족하거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커뮤니티를 찾아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들의 추적을 수월하게 해주며 각 커뮤니티 지도자들의 참여를 높일 것이다. 루카스 박사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면 우리는 지역마다 백신접종이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추가 지원이 필요한 곳을 타깃으로 해서 집중적으로 관리 할 수도 있다.” 고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한편 기록된 정보들이 다른 커뮤니티들을 비방하는데 사용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루카스 박사는 정부가 기록된 정보들을 대중들에게 공개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루카스 박사는, “수집 된 모든 데이터 표본들은 유용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공중 보건에 알려져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을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의미한 일이 될 수 있다” 고 덧붙였다.

전염병을 연구하는 조슬린 학자는 보건당국과 각 지역사회의 지도자들 및 의료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원한다고 말한다. 또한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한 해당 데이터는 광범위하게 공개되는게 맞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조슬린 박사는 수집된 데이터를 대중들에게 공개하는 것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며, “해당 데이터를 불균형에 대한 이유가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채로 대중들에게 공개하게 되면 특정 커뮤니티에 사회적 낙인을 찍힐 지도 모른다.” 고 덧붙였다.

한남길 기자 info@koreannews.com.au

<저작권자 © 일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