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결과, 88% 자국민들 ‘직업 불안정성은 국가가 해결해야 할 문제’
설문조사 결과, 많은 자국민이 직업 불안정성을 느끼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임시직 채용 추세가 자리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88%는 직업 안정성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문제라고 답했으며 전문가들은 근로자들의 이러한 반응에, ‘그렇게 느끼는 게 당연 하다.’고 공감했다.
현재 호주에는 유급 휴가 자격이 없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23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유급휴가 자격이 없기 때문에 시급을 20-25% 더 받는다. 하지만 그리피스 대학교의 데이비드 피츠 교수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비정규직’ 이라는 이름 아래 ‘정규직’ 근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휴가를 ‘박탈’ 당한 정규직 근무를 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약 절반가량의 비정규직 근로자만이 유급휴가가 미적용으로 인한 20~25%의 임금 추가 지급 혜택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들 중 일부는 고용주에 의해서 기초 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받고 일을 하기도 한다. 공정 근로 옴부즈맨(Fair Work Ombudsman)이 조사에 착수한 사례만 해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피츠 교수는, “이러한 세부사항들은 노동자들의 더 나은 근로조건을 위한 토론 자리에서 종종 누락되곤 한다.”고 전했다.

호주에서 가장 큰 설문지 중 하나인 ATNS(Australia Talks Nation)이 2021년에 진행한 설문조사는 수 만 명에 이르는 자국민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들에게 자국의 직업 안정성 보장 여부와 자신의 직업 안정성에 관해 물었다. 해당 설문조사는 연방 정부의 실업 수당 정책인 잡키퍼(Job Keeper)가 종료되기 몇 주 전인 3월 2일과 8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88%)의 자국민들은 호주의 직업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고있다고 답변했으며 설문조사 인원 중 27%는 앞으로 1년 이내에 직장에서 해고될까 봐 우려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해당 설문조사에 따르면, 68%의 참여자들은 상황이 온다면 이직할 자신이 있다고 응답했지만, 이들 중 많은 수가 50세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50세 이상의 근로자들은 현재 직장에서 해고되면 다른 직장에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 우려된다고 응답한 셈이다.
앨리슨 페닝턴 경제학자는, “지난 8년간 실질적인 임금인상이 없었기 때문에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반응은 어쩌면 당연하다. 또한, 비정규직 채용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면서, “이들은 구직 시장을 계속해서 확인하는데 마땅한 일자리가 없기에 더욱 불안감을 느끼고 현재 직장에 계속 근무하려고 한다.” 고 설문조사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한남길 기자 info@koreannews.com.au
<저작권자 © 일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