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appyadviser ! 박철구 재무사 입니다.
지난 칼럼에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일의 중요성을 설명드렸고, 이번 칼럼에서는 실질적 관리 부분에서 중요한 시간 관리와 위험 관리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객님들과 재무 상담을 해보면, 많은 분들이 향후의 지출과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하여 보험 설정, 예비자금 마련, 그리고 지속적인 자산 증식 등을 하셔야 한다는데에는 동의를 하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즉, 방법론에 대하여 Idea가 없으신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그 답으로는 시간과 위험의 관점에서 미래를 생각해 보면, 막연했던 예산 계획과 내가 대비해야 할 일들이 구체화 되는 것을 보시게 될 것입니다.
우선 시간 관리 방법으로는
- 예측 가능한 Life Event 를 나열해 보십시오. 예를 들자면, 결혼 자금, 주택구입 자금, 저축 시작과 목표, 보험 가입, 자동차 구입, 자녀 학자금 지출, 주택규모 넓히기, 자녀 교육 자금, 질병과 사고에 대한 예비비, 자녀 주택 자금 지원, 노후 은퇴 자금 확보 등…
- 위의 Life Event 들을 예측 가능한 시기 순으로 Time Line을 적어보십시오.
- 각 Event 별로 단기, 중기, 장기 계획으로 나누고 예상 비용을 산정해 보십시오.
- 지속적인 Event 즉, 한번에 준비가 될 수 없는 경우는 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정해보십시오. 예를 들어, 주택 구입 초기 자금을 5년에 걸쳐 준비한다고 정하시면 매년 이를 위해 저축을 해야 하는 목표 금액을 결정하실 수가 있게 됩니다.
- 중기와 장기 Event의 경우는 Event 별로 통장을 관리하십시오.
다소 귀찮아 보이는 방법일 수 있겠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자금 지출이 필요한 Event들을 정리하고, 이에 필요한 자금을 별도로 관리하시게 되면, 전체 은행 잔고 기준에서의 꼭 필요하지 않는 지출이나 낭비를 줄이고, 다가올 Event에 필요한 자금을 모아가고 있다는 구체적인 목표 의식이 뚜렸해져 자금 관리가 이전 보다 쉽고 의미도 부여될 것입니다.
다음은 위험 관리 방법으로,
- 소득원의 리스크를 최소화 하십시오. 지속적인 수입은 현재의 소득원이 유지 될 때 가능한 것이므로 그 부분에 위험 요소가 있다면 이를 지속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소득자의 위험에 보험으로 대비 하십시오. 최소한 주소득자의 경우는 필수적으로 생명(사망보험), 영구 장애 보험, 소득 보장, 중대 질병과 같은 적절한 보장을 설정하여 만약의 경우에 적절히 대비를 하시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 사업자의 경우에는 비지니스 위험에 대비하십시오. 주소득자가 아닌 Family Member의 예기치 못한 장애, 중대 질병 등이 발생할 경우도 결국에는 예상치 못한 지출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가장 중요한 원칙은 대비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험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보장 설정이 중요하다는 것이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위험 관리 부분에서 위의 2. 3의 내용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카카오 스토리에 이전 재무 칼럼들과 많은 재무 (보험/투자) 관련 참고 자료를 link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면책사항) 본 칼럼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개인의 재무상황이나 목표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General Advice) 사항입니다. 따라서 독자의 선택으로 인한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문가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