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법 (잘 곱하기 7-10 편)

안녕하세요, Happyadviser ! 박철구 재무사 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투자 시장 참여자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부분의 고객의 입장인 개인 투자자의 관점에서 투자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투자 시장은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로 크게 나눌 수 있겠습니다. 

기관 투자자는 고객의 자산을 맡아서 투자 운영을 하는 금융기관들을 의미하며, 세부적으로는 은행, 증권회사, 투자 자문 관리사 (Fund Manager), 주식 거래 중개인, Hedge Fund (투기적 자산 관리사) 등으로 다양하게 나눌 수가 있겠습니다.   개별 회사 또는 회사내의 상품과 목표 수익율에 따라 투자를 하는 자산의 대상도 다양할 것이고, 전략도 다양하며, 특별히 투자 기간이나 자산을 보유하는 기간 역시 천차 만별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기관 투자자들의 대부분은 시장이 오르고 내리고와 상관없이 고객과의 약속한 투자의 틀에서 결코 벗어나서는 안된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조금 자세하게 설명을 드리면, 예를 들어 ABC 투자 자문사의 XYZ Fund는 70%의 자산을 해외와 호주 주식에 분산 투자하고, 20%는 이자와 채권과 같이 고정 수익이 나오는 Fixed income 상품에 투자를 하고 10%는 부동산, 자원, 귀금속과 같은 대체 자산에 투자를 하겠다는 해당 Fund 만의 투자 Portfolio를 이미 고객과 약속을 해두었기때문에 시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하락 장에서Portfolio 내의 개별 주식의 위험 회피를 위한 매도는 가능하겠지만, 실제 주식에 들어가 있는 자산의 규모 (즉, 70%의 주식 자산 투자) 자체를, 예를 들자면, 시장이 회복할 것으로 보이는 6개월 정도까지 전혀 하지 않고 있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즉, 시장이 올라가던, 내려가던 기관 투자자는 무조건 Portfolio 내의 규정된 투자 자산의 비율을 지키면서, 그 Portfolio 안의 개별 투자 상품의 대상을 매도와 매수를 통해 변경해 가면 약속한 목표 수익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자산을 직접 투자 관리하는 개인 투자자는 투자 규모와 투자 자산에 대한 정보력이 압도적인 기관 투자자에 비해서는 모든 면에서 부족한, 한마디로 기울어진 운동장과도 같은 상황에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기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는 결코 기관 투자자를 이길 방법이 없습니다. ㅠㅠ

그러나 개인 투자자에게 기관 투자자가 절대 가질 수 없는 장점이 있다면, 개인 투자자는 모든 투자의 결정을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즉시 하시고 실행을 하실 수 있기 때문에, 굳이 1년 365일을 투자 자금을 투자 시장에 투입하고 위의 힘든 싸움을 하실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장이 안좋와 보이면, 여러 칼럼에서 말씀드린데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객관적인 매수/매도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자산을 매각하여 현금을 보유하면서 시장을 관찰하다가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다시 자산 시장에 투자를 하시면 된다는 것입니다.    너무 당연한 말 아니냐고 말씀하실 수 있겠으나, 가끔 개인 투자자들이 이 간단한 방법을 모르는지 외면하는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올라가고 떨어지는 현상에만 일희일비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 지만 계속 타인의 의견만을 찾는 안타까운 상황을 보게 됩니다.   

복리의 마법과도 연결을 하여 추가로 설명드려보면, 물론, 한 주식을 매수하여 오랜 기간 (예를 들어 3년) 동안 배당을 재투자하고 주식의 가격 역시 올라서 50% 정도의 기대 수익율을 성취하는 것도 물론 의미가 있는 일이겠으나, 반대로 1년동안 주식시장을 잘 관찰하다, 확신이 서는 시점에 4번만 투자하여 각 10% 의 수익을 얻었다고 하면, 일년 수익율은 46%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0%의 수익을 내는 주식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충분한 시간을 두고, 또 자신이 잘 이해하고 있는 주식의 시장 전체의 영향으로 인한 과대 하락을 포착할 경우 10% 정도의 수익을 내는 것은 개인 투자자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급변하는 투자 환경에서 충분한 공부를 하고 자신만의 확고한 투자 철학과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은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제 카카오 스토리에 이전 재무 칼럼들과 많은 재무 (보험/투자) 관련 참고 자료를 link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면책사항) 본 칼럼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개인의 재무상황이나 목표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General Advice) 사항입니다.  따라서 독자의 선택으로 인한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문가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